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New York Dolls

덤프버전 :


New York Dolls의 주요 수상
[ 펼치기 · 접기 ]

파일:D35299F0-A94E-4256-858A-16C852ABB793.png
어클레임드 뮤직 선정 올타임 명반
180위



파일:1001 Albums You Must Hear Before You Die.jpg
[[죽기 전에 꼭 들어야 할 앨범 1001|'''{{{#000,#fff 죽기 전에 꼭 들어야 할 앨범
1001장}}}''']]







파일:All-Time_Top_1000_Albums_(1st_Edition).jpg
올 타임 탑 1000 앨범

{{{#000,#fff 220위
1998년}}}

파일:All-Time_Top_1000_Albums_(1st_Edition).jpg
올 타임 탑 1000 앨범

1998년 220위
2000년 893위
@연도3@년 @순위3@위




파일:external/www.theuncool.com/rs937.jpg
롤링 스톤 선정 500대 명반

{{{#000,#fff 215위
2012년}}}

파일:external/www.theuncool.com/rs937.jpg
롤링 스톤 선정 500대 명반

2012년 215위
2020년 301위
@연도3@년 @순위3@위
















New York Dolls
파일:newyorkdolls.jpg
발매일1973년 7월 27일
녹음1973년 4월
장르글램 록, 프로토 펑크, 글램 펑크
재생 시간42:44
곡 수11곡
프로듀서토드 런그렌
스튜디오레코드 플랜트
레이블머큐리 레코드

1. 개요
2. 상세
3. 평가
4. 트랙 리스트
4.1. Side A
4.2. Side B
5. 참여자


1. 개요[편집]


미국의 록밴드 뉴욕 돌스의 데뷔 앨범. 1973년 7월 27에 발매되었다.

2. 상세[편집]


1971년 결성 뒤로 다운타운 맨해튼을 중심으로 팬층을 쌓아갔지만, 대부분의 프로듀서들과 음반사들은 이들의 경박함과 호모포비아들을 자극하는 무대 의상때문에 뉴욕 돌스와 일하기를 꺼렸다. 그러던 중 1973년 3월, 롤링 스톤즈의 대체재를 찾던 머큐리 레코드와 계약한 뒤, 레코드 플랜트에서 프로듀서 토드 런그렌과 작업하게 된다. 작업 동안 토드 룬드그렌과 밴드 멤버들의 갈등이 있었음에도, 이후 데이비드 요한센과 실베인 실베인은 라이브 사운드를 잘 담아냈다고 호평을 하기도 했다. 완성된 앨범 속 이들의 음악은 데이비드 요한센의 십대 소외, 십대 연애 등을 주제로 한 구어적이고 모호한 가사들과 자유분방한 로큰롤, 브릴 빌딩 팝의 영향, 호모섹슈얼한 감성들이 포함되어 있다.

앨범은 평론가들로부터좋은 평가를 받았지만, 빌보드 200에 오르지도 못하는 등 상업적으로 잘 팔리지 못했다. 그렇지만 이후 1970년대 펑크 록 운동에 선구적인 영향을 끼쳤다.

여담으로 더 스미스의 프론트맨이었던 모리세이가 좋아하는 앨범이다.

3. 평가[편집]


파일:롤링 스톤 로고.svg Album Guide
★★★★★










4. 트랙 리스트[편집]



4.1. Side A[편집]


  • 1. "Personality Crisis"
  • 2. "Looking for a Kiss"
    • 오프닝의 "when I say I'm in love, you'd best believe I'm in love L-U-V"는 샹그리라스의 곡 "Give Him a Great Big Kiss"를 레퍼런스한 것이다.
  • 3. "Vietnamese Baby"
  • 4. "Lonely Planet Boy"
  • 5. "Frankenstein (Orig.)"

4.2. Side B[편집]


  • 1. "Trash"
  • 2. "Bad Girl"
  • 3. "Subway Train"
  • 4. "Pills"
  • 5. "Private World"
  • 6. "Jet Boy"
    • 앨범의 두 번째 싱글. 모리세이가 좋아하는 싱글들 중 하나이기도 하다.

5. 참여자[편집]


  • 데이비드 요한센 - 보컬, 하모니카, 공
  • 아서 케인 - 베이스 기타
  • 제리 놀란 - 드럼
  • 실베인 실베인 - 피아노, 리듬 기타, 보컬
  • 조니 썬더스 - 리드 기타, 보컬